거룩한 낭비 / Holy Wasti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미감리교회
조회 311회 작성일 25-03-07 16:57
조회 311회 작성일 25-03-07 16:57
본문
지난 수요일은 재의 수요일이기도 했지만 또한 경칩이기도 했습니다. 경칩은 나무에서 싹이 나기 시작하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슬슬 깨어나기 시작한다는 절기인데, 아마도 이때 텃밭을 일구는 분들은 서서히 농사지을 준비를 시작하시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저도 이번에는 사택 뒷마당에 조그맣게 밭을 일구고, 교회 주변에 화분을 몇 개 만들어 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꽃에 대해서 잘 아는 분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씨를 뿌릴 생각을 하면 복음서에 나오는 “씨뿌리는 자의 비유”가 늘 생각납니다. 여러분이 알다시피 하나님께서 복음을 전하시려고 이런 저런 마음 밭에 복음의 씨를 뿌리신다는 이 이야기 속에서 늘 의아하게 생각했던 점은 씨뿌리는 사람이 너무 계획 없이 마구 씨를 뿌린다는 것입니다. 대개 농사를 지을 때는 땅을 일구고, 씨가 잘 자랄만한 곳에 씨를 효과적으로 뿌려야 수확을 잘 거둘 수 있는데, “씨뿌리는 자의 비유”에 보면 길가, 돌밭, 가시밭 할 것 없이 마구 뿌려대는 것을 보게 되는데 ... 하나님의 은혜를 살펴보면 이렇게 효율적이지 않고 낭비적인 요소가 다분히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흔히 “거룩한 낭비”라고도 하죠.
플라톤이라는 고대의 유명한 철학자는 자신의 “국가”라는 책에서 인간을 금, 은, 동으로 구분하고 이상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금 계급의 우월한 사람들만 결혼을 해서 좋은 인간들을 출산해 내야 한다는 이론을 펼친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인간이 보기에 좋은 종자의 사람들만 출산 된다면 세상이 좋아질 것 같지만,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은 오히려 연약하고 병들고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많은 것을 보면서 하나님은 왜 이렇게 “비효율적”이실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예수님도 더 나아가 “가난한자, 배고픈 자, 목마른 자” 등 뭔가 부족한 사람들이 오히려 복이 있다고 하셨고, 우리 가운데 지극히 작은 자가 예수님이라고 까지 하신 것을 보면, 하나님의 은혜는 효율성 보다는 낭비성이 더 많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세상은 효율성이 없는 사람은 짤라 버리고, 효율성이 없는 일은 없애 버리고 할 지 모르지만, 그런 세상은 하나님의 은혜의 넉넉함을 알지 못하는 얕은 세상이 되어버리는 것 같습니다. 효율성만 앞세우는 세상은 은혜를 소중히 여기는 깊이가 없어집니다. 남을 살펴볼 수 있는 느릿한 여유, 뒤쳐지는 사람과 쉬었다 갈 수 있는 넉넉함, 모자람에는 눈감고 조금 과하게 채워줄 수 있는 그런 마음이 있을 때, 세상에서 은혜의 맛이 날 터인데 말이죠.
사순절 기간 동안 일천시간 기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0일간 매일 새벽에 교회에 나와서 일천시간을 기도에 쏟는다는 것 ... 어떻게 생각하면 참 비효율적인 일 같아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시간당 돈 버는 일도 아니고, 금방 어떤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하지만 우리의 일천시간이 우리가 알 수 없는 하나님의 30배, 60배, 100배의 놀라운 열매를 맺게 하는 “거룩한 낭비”가 되리라 믿습니다.
그 바쁘신 하나님께서도 40일간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느라 일천 시간을 “낭비”해 주실 것을 생각하니 ... 괜스레 힘이 납니다!
++++++++
Holy Wasting
This past Wednesday was not only Ash Wednesday but also Gyeongchip. Gyeongchip designates a season when buds begin to sprout on trees and animals that have been in hibernation slowly start to awaken. I imagine that those who cultivate gardens might also be gradually preparing to till their ground around this time.
This year, I am thinking of tending a small garden in the backyard of the parsonage and placing a few flowerpots around the church. (If anyone has expertise in flowers, please feel free to reach out to me!)
Whenever I think about sowing seeds, I am always reminded of the Parable of the Sower in the Gospels. As you know, the story illustrates how God scatters the seeds of the gospel onto various types of soil, representing different hearts. However, what has always puzzled me is how indiscriminately the Sower spreads the seeds—without careful planning. Generally, when planting crops, one prepares the soil and sows seeds efficiently in places where they will grow well to ensure a good harvest. But in the Parable of the Sower, we see seeds being scattered everywhere—on the path, on rocky ground, and among thorns—seemingly without any concern for efficiency. Looking at God’s grace, we often find that it, too, is not always efficient but rather filled with elements of what some call “holy waste.”
The famous ancient philosopher Plato, in his book The Republic, categorized people into gold, silver, and bronze classes, arguing that only those of the superior gold class should marry and produce offspring to create an ideal society. It may seem logical that if only the best human "seeds" were passed down, the world would become a better place. Yet, when we look at God's creation, we see a world filled with those who are weak, sick, or disabled. This makes me wonder: Why is God so inefficient?
Jesus took this idea even further, saying that the poor, the hungry, and the thirsty are blessed. He even declared that the least among us is Himself. Reflecting on this, I cannot help but think that God's grace is far more wasteful than efficient.
The world may discard those deemed inefficient and eliminate tasks that do not yield immediate results. However, such a world will miss the abundance of God’s grace – it will become a shallow world. A world that prioritizes efficiency alone loses the depth of cherishing grace. When there is a slow-paced leisure that allows us to look after others, the generosity to pause and walk alongside those who fall behind, and the heart to overlook shortcomings and give a little more than necessary, then the world would surely carry the taste of grace.
During this Lenten season, we are holding a 1,000-hour prayer campaign. Every morning, for 40 days, we gather at dawn, dedicating ourselves to prayer.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might seem highly inefficient. It doesn’t generate income, nor does it yield immediate, tangible results. Yet, I firmly believe that our 1,000 hours of prayer will bear the astonishing fruit of God’s 30-fold, 60-fold, and 100-fold blessings - becoming a holy waste that glorifies Him.
And when I think about our busy God also “wasting” 1,000 hours to listen to our prayers over these 40 days ... I can't help but feel sooooo excited!
저도 이번에는 사택 뒷마당에 조그맣게 밭을 일구고, 교회 주변에 화분을 몇 개 만들어 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혹시 꽃에 대해서 잘 아는 분이 있으시면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씨를 뿌릴 생각을 하면 복음서에 나오는 “씨뿌리는 자의 비유”가 늘 생각납니다. 여러분이 알다시피 하나님께서 복음을 전하시려고 이런 저런 마음 밭에 복음의 씨를 뿌리신다는 이 이야기 속에서 늘 의아하게 생각했던 점은 씨뿌리는 사람이 너무 계획 없이 마구 씨를 뿌린다는 것입니다. 대개 농사를 지을 때는 땅을 일구고, 씨가 잘 자랄만한 곳에 씨를 효과적으로 뿌려야 수확을 잘 거둘 수 있는데, “씨뿌리는 자의 비유”에 보면 길가, 돌밭, 가시밭 할 것 없이 마구 뿌려대는 것을 보게 되는데 ... 하나님의 은혜를 살펴보면 이렇게 효율적이지 않고 낭비적인 요소가 다분히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흔히 “거룩한 낭비”라고도 하죠.
플라톤이라는 고대의 유명한 철학자는 자신의 “국가”라는 책에서 인간을 금, 은, 동으로 구분하고 이상적인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금 계급의 우월한 사람들만 결혼을 해서 좋은 인간들을 출산해 내야 한다는 이론을 펼친 적이 있었습니다. 그렇게 인간이 보기에 좋은 종자의 사람들만 출산 된다면 세상이 좋아질 것 같지만, 하나님께서 만드신 세상은 오히려 연약하고 병들고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많은 것을 보면서 하나님은 왜 이렇게 “비효율적”이실까 하는 생각을 해 보게 됩니다.
예수님도 더 나아가 “가난한자, 배고픈 자, 목마른 자” 등 뭔가 부족한 사람들이 오히려 복이 있다고 하셨고, 우리 가운데 지극히 작은 자가 예수님이라고 까지 하신 것을 보면, 하나님의 은혜는 효율성 보다는 낭비성이 더 많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네요.
세상은 효율성이 없는 사람은 짤라 버리고, 효율성이 없는 일은 없애 버리고 할 지 모르지만, 그런 세상은 하나님의 은혜의 넉넉함을 알지 못하는 얕은 세상이 되어버리는 것 같습니다. 효율성만 앞세우는 세상은 은혜를 소중히 여기는 깊이가 없어집니다. 남을 살펴볼 수 있는 느릿한 여유, 뒤쳐지는 사람과 쉬었다 갈 수 있는 넉넉함, 모자람에는 눈감고 조금 과하게 채워줄 수 있는 그런 마음이 있을 때, 세상에서 은혜의 맛이 날 터인데 말이죠.
사순절 기간 동안 일천시간 기도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40일간 매일 새벽에 교회에 나와서 일천시간을 기도에 쏟는다는 것 ... 어떻게 생각하면 참 비효율적인 일 같아 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시간당 돈 버는 일도 아니고, 금방 어떤 결과가 나오는 것도 아닌데 말이죠. 하지만 우리의 일천시간이 우리가 알 수 없는 하나님의 30배, 60배, 100배의 놀라운 열매를 맺게 하는 “거룩한 낭비”가 되리라 믿습니다.
그 바쁘신 하나님께서도 40일간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느라 일천 시간을 “낭비”해 주실 것을 생각하니 ... 괜스레 힘이 납니다!
++++++++
Holy Wasting
This past Wednesday was not only Ash Wednesday but also Gyeongchip. Gyeongchip designates a season when buds begin to sprout on trees and animals that have been in hibernation slowly start to awaken. I imagine that those who cultivate gardens might also be gradually preparing to till their ground around this time.
This year, I am thinking of tending a small garden in the backyard of the parsonage and placing a few flowerpots around the church. (If anyone has expertise in flowers, please feel free to reach out to me!)
Whenever I think about sowing seeds, I am always reminded of the Parable of the Sower in the Gospels. As you know, the story illustrates how God scatters the seeds of the gospel onto various types of soil, representing different hearts. However, what has always puzzled me is how indiscriminately the Sower spreads the seeds—without careful planning. Generally, when planting crops, one prepares the soil and sows seeds efficiently in places where they will grow well to ensure a good harvest. But in the Parable of the Sower, we see seeds being scattered everywhere—on the path, on rocky ground, and among thorns—seemingly without any concern for efficiency. Looking at God’s grace, we often find that it, too, is not always efficient but rather filled with elements of what some call “holy waste.”
The famous ancient philosopher Plato, in his book The Republic, categorized people into gold, silver, and bronze classes, arguing that only those of the superior gold class should marry and produce offspring to create an ideal society. It may seem logical that if only the best human "seeds" were passed down, the world would become a better place. Yet, when we look at God's creation, we see a world filled with those who are weak, sick, or disabled. This makes me wonder: Why is God so inefficient?
Jesus took this idea even further, saying that the poor, the hungry, and the thirsty are blessed. He even declared that the least among us is Himself. Reflecting on this, I cannot help but think that God's grace is far more wasteful than efficient.
The world may discard those deemed inefficient and eliminate tasks that do not yield immediate results. However, such a world will miss the abundance of God’s grace – it will become a shallow world. A world that prioritizes efficiency alone loses the depth of cherishing grace. When there is a slow-paced leisure that allows us to look after others, the generosity to pause and walk alongside those who fall behind, and the heart to overlook shortcomings and give a little more than necessary, then the world would surely carry the taste of grace.
During this Lenten season, we are holding a 1,000-hour prayer campaign. Every morning, for 40 days, we gather at dawn, dedicating ourselves to prayer. From a practical standpoint, this might seem highly inefficient. It doesn’t generate income, nor does it yield immediate, tangible results. Yet, I firmly believe that our 1,000 hours of prayer will bear the astonishing fruit of God’s 30-fold, 60-fold, and 100-fold blessings - becoming a holy waste that glorifies Him.
And when I think about our busy God also “wasting” 1,000 hours to listen to our prayers over these 40 days ... I can't help but feel sooooo excited!
- 이전글기도의 열기가 뜨겁습니다! / The Fire of the Lenten Prayer 25.03.15
- 다음글기도하는 사순절 II (Lent - A Season of Prayer) 25.03.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